카카오 Big 5 성격검사, 작정하고 풀었더니 결과가… (성격검사의 채점 원리)
카카오 같이가치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Big 5 성격검사를 직접 실시하고, 각 문항들이 어떤 특성을 측정하는지 자세히 살펴보았다.
카카오 같이가치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Big 5 성격검사를 직접 실시하고, 각 문항들이 어떤 특성을 측정하는지 자세히 살펴보았다.
사람들이 MBTI를 무시하는 근거가 무엇인지 살펴보고, 그럼에도 불구하고 MBTI가 왜 훌륭한 검사인지 남겨보았다.
★★★
최근에 다면평가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, 그 데이터 분석 결과 및 시각화 사례를 소개한다. 다면평가는 조직마다 패턴이 모두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고, 할 때마다 고민되는 문제들이 있기 때문이다.
요즘 채용 시장에서 AI 면접이 인기다. 특히 마이다스아이티의 채용 설루션 ‘AI 역량 검사’가 대표적인데, 대체 이 AI 면접의 원리가 무엇이고, 어떤 문제점이나 한계가 있는지에 주관적인 의견을 남겨본다.
작년에 대기업 그룹사 전체를 대상으로 진행했던 리더십 다면진단 주관식 응답 분석 프로젝트를 올해 한 번 더 진행했다. 한 번 더 하니 작년에 못 봤던 새로운 내용들이 많이 보였고, 느낀 점도 많아서 추가로 남겨본다.
예전에 회사에서 사람들의 가치관(value)에 대한 심리 검사를 개발한 적이 있다. 그 때 관련 연구들을 꽤나 많이 찾아봤는데 중요한 것들만 요약해서 남겨보기로 한다. Schwartz의 보편적 가치 이론(Basic Human Values)을 중심으로.
나는 HR, 인사/조직 관련 트렌드를 볼 일이 있을 때마다 그때그때 웹사이트를 뒤적거리는데, 이 기회에 포스팅으로 한 번 정리해놓고자 5개만 대표로 뽑았다. 물론 세부 분야에 따라 더 많은 소스가 있을 수 있지만 큼직한 사이트 다섯개만 남겨본다.
‘애자일(agile)’이라는 표현은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혹은 철학으로 사전적 의미는 ‘날렵한, 민첩한, 재빠른, 기민한’이다. 그리고 지구상에서 가장 빠른 동물이라는 치타의 사냥 방식을 보면 진정한 애자일을 엿볼 수 있다.
딜로이트(Deloitte)에서 라는 이름으로 세계 각국의 밀레니얼세대(일명 Y세대)와 Z세대들을 대상으로 대규모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실시했고, 거기서 얻은 결과와 인사이트를 발표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