내 PC에서 웹훅 요청 받아서 파이썬 자동화 스크립트 실행하기 (Flask)
내 PC를 서버로 동작하게 만들어 놓고 웹에 공개하여, 해당 URL로 웹훅이 날아오면 내 PC에서 자동화 스크립트를 실행하도록 했다. flask 기초 사용.
내 PC를 서버로 동작하게 만들어 놓고 웹에 공개하여, 해당 URL로 웹훅이 날아오면 내 PC에서 자동화 스크립트를 실행하도록 했다. flask 기초 사용.
내 로컬 PC가 웹 서버 역할을 하도록 할 일이 생겼다. localhost를 외부에서 접속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. 결론은 ngrok을 쓰는 거다.
CSS flexbox를 익히면 HTML 요소들을 좀 더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. 특히 화면 크기의 변화에 반응하는, 즉 반응형 웹사이트를 만드는 데 유용하다. flexbox 최대한 쉽게 총정리하기.
웹에 접속하는 디바이스가 워낙 다양하다보니 요즘 사이트들은 대부분 반응형이다. 웹페이지를 브라우저 크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내기 위해 CSS에서 미디어쿼리를 익혀보자.
브라우저 크기를 조절해도 본문 내 삽입된 이미지들이 망가지지 않고 브라우저 크기 따라 자연스럽게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.